현대 축구에서 풀백은 전술적으로 중요한 열쇠다. 풀백의 위치가 어떤 위치냐에 따라서 그 팀의 전술적 의도가 무엇인지를 어느 정도는 알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의 수비를 뚫어내기 위해서는 측면을 공략 하는게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상대의 zone14 중앙을 공략하면 측면에서 공격을 하는 것 보다는 상대의 골문까지 효율적이고 위협적으로 접근을 할 수 있겠지만 상대 수비가 바보처럼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
상대 수비는 자신들에게 가장 위협적이게 될 공간인 zone14를 쉽게 내어주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 두 명의 중앙 수비수 앞에 수비형 미드필더를 배치시켜 자신들에게 위협이 될 공간을 내어주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 중앙은 공간이 좁고 매우 혼잡하다.
그렇기에 중앙 보다는 비교적 압박이 덜한 측면을 공략하여 상대 수비를 뚫어내야 하며, 반대로 수비시에는 측면을 공략해오는 상대의 공격을 저지해야 하기 때문에 측면을 지배하고 점유하는 것이 승리에 가까워진 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대 축구에서 측면의 중요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풀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풀백의 다양한 활용
1) 풀백의 공격적 활용
-풀백을 공격적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팀 "리버풀"-
현대 축구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다. 공격시에 수적 우위를 두기 위해 풀백을 전진 시키는 형태다. 아마 이러한 형태가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풀백의 오버랩, 또는 언더랩을 통해 상대의 측면을 공격하고 무너뜨리는 것이 풀백을 활용하는 가장 보편화된 활용법일 것이다.
풀백이 윙어의 역할을 도맡아 하게 된 시점은 반대발 윙어가 출현하면서 부터다. 반대발 윙어가 중앙으로 이동하며 침투하고 플레이를 하게되며, 풀백은 윙어가 측면에서 해야 하는 역할을 맡아서 하게됐다. 반대발 윙어가 안으로 이동 하게 되면 측면의 빈 공간을 이용해 오버랩을 나가며, 또는 화려한 드리블, 연계플레이들 통해 상대의 측면을 붕괴 시킨다.
2) 풀백의 수비적 활용
-감독의 스타일이나 선수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풀백의 활용-
현대 축구에서는 풀백을 공격적을 활용을 많이 하기 때문에 풀백은 수비력 뿐만이 아니고 공격력도 동시에 갖춰야 한다. 하지만 모든 풀백을 보는 선수가 다 같을 수는 없다. 공격력과 수비력을 동시에 갖출 수도 있지만 공격력 보다는 수비력이 좀 더 좋은 선수가 있을 것이고 반대로 수비력이 부족 하지만 공격력이 좋은 풀백이 있을 것이다.
앞서 풀백의 공격적 활용 처럼 공격력이 좋은 풀백을 공격적으로 활용을 하면 좋겠지만 공격력이 부족한 단점을 활용할 이유는 없다. 이러할 때에는 풀백의 공격을 제한하고 수비적인 임무와 수비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 풀백이 공격력이 좋다면 공격시에 오른쪽 풀백을 전진 시키고 반대편인 왼쪽 풀백은 최후방에 남겨두어 수비 밸런스를 맞추며 공격보다는 수비에 기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선수의 스타일 성향에 따라서 공격적으로 또는 수비적으로 활용이 되기도 하지만 감독의 전술적 스타일에 따라서 풀백의 공격적인 윙어의 역할이 아닌 자신의 포지션을 지키며 수비적 임무를 완수하는 역할을 할 때도 있다. 감독의 전술 스타일이 선수비 후역습의 전략 이라면 공격력이 있는 풀백이라도 공격 보다는 수비를 하는 것이 먼저임으로 수비적 임무에 충실 해야한다.
3) 풀백의 미드필더화
-왼쪽 풀백 진첸코를 빌드업시에 중앙으로 이동시킨 장면이다-
풀백의 미드필더화는 펩 과르디올라의 축구에서 많이 볼 수가 있다. 풀백이 윙어의 위치로 전진하는 것이 아닌, 3선 미드필더의 위치로 이동하여 빌드업 할 때나 또는 미드필더진에서 수적우위를 만들고 싶을 때 풀백을 미드필더화 시킬 수 있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풀백을 미드필더화 시키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2선에 위치한 미드필더를 더욱 공격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펩 과르디올라는 하프 스페이스를 가장 잘 활용하는 감독이다. 하프 스페이스를 효과적이고 공수 밸런스를 무너뜨리지 않고 활용하기 위해 펩 과르디올라 감독은 풀백을 미드필더로 활용을 했다.
미드필더가 하프스페이스로 침투를 하게 되면 중원에 남아있는 미드필더 숫자가 부족해져 중원 허리 싸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풀백을 미드필더화 시킨다. 풀백을 미드필더화 시키며 하프 스페이스로 인해 더욱 위협적인 공격이 가능해졌고 또한 공수 밸런스도 동시에 잡을 수 있게 된다.
결론
현대축구에서 풀백의 위치에 따라 풀백이 활용되는 전술적 쓰임새는 제각각이다. 풀백의 전진으로 인해 전술적으로 얻을 수 있는 옵션의 다양함이 있다. 이러한 풀백의 다양한 전술적 활용을 보며 축구를 본다면 축구를 보는 재미는 한 층 더 높아 질 것이다.
ZONE14에서 대해서 궁금 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
https://dkstjdgus1198.tistory.com/123
저의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글 쓰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글이 잘못 됐거나 개인 의견 있으신 분들께서는 댓글로 부탁 드립니다. 수정하고 다음 글 올릴 때 의견 반영하여 게재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