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날 선발 라인업
새시즌을 앞두고 열린 커뮤니티 실드에서 아스날은 승부차기 접전 끝에 리버풀 에게 승리를 하며 우승컵을 들어 올리게 됐다. 이번 경기에 아스날은 굉장히 준비가 잘 된 모습을 볼 수가 있었다. 아스날의 아르테타 감독은 리버풀의 측면 공격에 대해 대비가 잘 된 모습이었고 3백을 들고 나와 3백과 4백을 오가는 변칙적인 전술로 리버풀의 수비를 괴롭혔다.
아스날의 이번 경기에서 전술적인 키는 티어니와 나일스였다. 아르테타 감독은 센터백과 풀백을 볼 수 있는 티어니와 나일스를 통해서 변칙적으로 전술을 구사하고자 했다. 포메이션 상 티어니는 3백의 왼쪽 센터백이지 공격시에는 풀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공격적으로 전진하였고 오버랩을 돌며 공격 지원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윙백의 나일스 또한 공격시에는 윙백의 역할에 벗어나 중원으로 이동하며 중앙에서 플레이를 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수비 시 아스날의 형태
아스날의 포메이션은 3-4-3이였지만 경기 증 3-4-3의 포메이션 형태는 거의 보기 힘들었다. 아스날은 수비시에 양 쪽 윙백들과 윙포워드들이 수비 깊은 진영까지 내려오며 5-4-1 형태가 만들어졌다. 리버풀의 측면 공격을 막고자 아스날의 윙백들과 윙포워드들이 후방 깊이 내려와 리버풀의 풀백들과 공격수들을 1대1로 대인 방어를 했다.
그리고 리버풀의 윙포워드들은 풀백들이 전진 했을 때 안으로 이동하며 하프 스페이스에서 움직이며 플레이를 했는데 리버풀의 윙포워들인 마네와 살라를 롭 홀딩과 키어니가 방어를 했다. 또한 아스날은 1선, 2선, 3선의 라인 간격을 촘촘하게 유지하며 리버풀 공격수들에게 공간을 주지 않으려 노력했고
이는 효과를 봤으며 클롭 감독을 당황하게 했다. 아스날은 적절한 전방 압박과 촘촘한 수비 라인 간격을 유지하며 리버풀 공격을 적절하게 방어를 잘 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번 경기를 통해 클롭 감독은 헨더슨과 아놀드의 부재가 크게 느껴졌을 것이다.
아스날이 리버풀의 측면 공격 잘 막아낸 것도 있지만 아놀드의 결장으로 인해 리버풀의 공격이 왼쪽으로 치우쳤기에 한 층 더 수월하게 리버풀의 공격을 제어 할 수 있다는 점은 무시 못 할 것이다. 만약 아놀드가 출전하여 좌우로 측면을 흔들어줬다면 아스날의 수비는 꽤나 고전하고 흔들렸을 것이라 생각한다.
#아스날의 압박
아스날은 기본적으로 수비 시에는 5-4-1 형태를 유지하며 전체적인 수비 라인을 내리고 수비 간 간격을 촘촘하게 유지하며 리버풀 공격수들에게 공간을 내주지 않으려 했다. 하지만 아스날이 처음부터 수비 라인을 내려서 5-4-1 형태를 유지하며 수비를 한 것은 아니다.
아스날이 수비 라인을 내려 5-4-1 형태를 구축 할 때는 전방 압박을 시도 했는데 상대가 탈 압박 하여 압박에 실패 했을 경우와 압박의 타이밍이 맞지 않았을 경우에는 확실히 물러서서 경기를 했다. 아스날이 압박을 통해 얻고자 했던 것은 리버풀의 빌드업을 방해하고 상대 공격수들에게 정확하게 볼이 전달이 되지 않게 하는 것이 궁긍적이 목표였는데 어느 정도 성공 했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압박을 통해 의도적인 롱 볼을 만들어 냈는데 이 또한 아스날이 압박을 통해 얻고자 함이다. 아스날 선수들은 압박을 통해 롱 볼을 만들어 공중 볼 경합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신장이 작고 공중 볼에 약한 리버풀 공격수들에게는 비교적 취약한 환경이고 반면 아스날 수비수들에게는 강점을 보일 수 있는 환경이었다.
경기 중 아스날이 압박 한 이후 롱 볼을 만들어 졌을 때 피르미누와 다비드 루이스을 경합을 자주 볼 수가 있었는데 이 둘의 경합 확실히 루이스가 압도하는 걸 볼 수 있었다. 아스날은 압박을 통해 리버풀의 빌드업을 방해했고 또한 롱 볼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경합에서 우위를 가져갔으며 리버풀에게서 볼 소유권을 찾아오는 좋은 장면을 만들어 냈다.
아스날이 압박을 매번 성공 한 것은 아니지만 압박을 통해 자신들이 원하는 상황을 만들어냈고 압박을 통해 리버풀을 충분히 괴롭혔다.
#아르테타의 변칙적인 전술
아스날에게 포메이션이란 그저 선수들을 숫자로 표기하는 수단 중 하나에 불과한 것 같다. 아스날의 기본적인 포메이션은 3-4-3이지만 경기 중 3-4-3의 형태를 보인 적은 없었다. 수비 시에는 5-4-1 형태였고 공격 시에는 4-3-3의 형태를 보였다.
앞서 말했지만 이번 경기에서 아르테타의 변칙적인 전술의 키가 되는 선수는 티어니와 나일스다. 수비 시에는 왼쪽 센터백을 보는 티어니가 공격 시에는 왼쪽 풀백으로 전환하여 왼쪽 측면 공격을 지원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왼쪽 윙백을 보던 나일스는 측면에서 중앙으로 이동하여 미드필더 지역과 하프 스페이스 공간에서 플레이를 했다.
이번 경기에서 왼쪽 측면을 아르테타가 신경을 좀 썼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은 리버풀의 오른쪽은 아놀드가 출전 하지 못하게 되어 리버풀의 어린 유스 선수인 네코 윌리엄스가 출전하게 된 오른쪽 측면을 지속적으로 공략하고 측면에서 수적 우위를 만들며 찬스를 만들어 내려고 했다.
아르테타가 이러한 변칙적인 전술을 활용 할 수 있었던 것은 센터백과 풀백을 소화 할 수 있는 티어니와 풀백과 미드필더를 소화 할 수 있는 나일스가 있기 때문이다.
#측면에서 수적 우위
아르테타 감독이 왼쪽 측면을 지속적으로 공략하는 움직임이 계속 보였고 아스날의 선제골 장면에서 가장 도드라지게 보였다. 오바메양이 반대편 사카에게 볼을 받았을 때 키어니와 나일스의 움직임을 주목 해볼 필요가 있다. 오바메양이 안으로 볼을 이동 시켜 놓고 슈팅으로 득점하기 전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키어니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해 오버랩을 돌고 있었고 나일스는 하프 스페이스 공간으로 침투해 들어가며 베이날둠을 끌고 들어가면서 공간을 만들어 주었다.
이렇게 동시에 움직임을 가져가 줬을 때 네코 윌리엄스는 오버랩 도는 키어니와 오바메양을 동시에 신경 써야 하기 때문에 수비 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베이날둠은 중앙으로 가로 질러가며 침투해 들어가는 나일스를 신경 쓸 수 밖에 없어 따라가야 하는지 아님 안으로 드리블하는 오바메양을 막아야 하는지 순간 멈칫하게 된다. 이렇게 측면에서 동시에 움직임을 가져가 줌으로써 오바메양은 선택지가 많아지게 되고 오바메양과 윌리엄스의 1대1로 대치하는 상황이 만들어 질 수 밖에 없다.
스피드와 기술 그리고 마무리 능력이 뛰어난 오바메양이 신인 윌리엄스에게는 부담이었고 오바메양은 손 쉬운 먹잇감을 놓치지 않았다. 아르테타의 변칙적인 전술이 오바메양의 득점 상황 같은 좋은 상황을 만들어 냈다고 해도 무방하다. 만약 아르테타가 기존의 3-4-3 형태로 경기를 했다면 오바메양의 득점 같은 좋은 상황이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아스날은 이번 경기 전반에서 리버풀을 상대로 압박, 측면 공격에 대한 대비,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되는 속도 등 여러 면에서 긍정적인 장면들을 많이 보여줬다. 후반전에는 리버풀의 클롭 감독이 전술에 변화를 주며 어려움을 겪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론 승부차기 끝에 우승컵을 들어 올리게 됐다.
리그 우승팀과 FA컵 우승팀이 맞붙는 이벤트성 대회지만 아르테타 체제 아래에서 FA컵에 이어 커뮤니티 실드까지 두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다. 현재 아르테타 체제에서 아스날의 선발 라인업은 리버풀, 첼시, 맨시티, 등 상위권 팀들에 비해 스쿼드가 좀 떨어지는 포지션이 있다.
아스날이 좀 더 나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선 선수의 보강이 필요해 보인다. 만약에 아르테타가 원하는 선수 보강이 적절하게 이뤄진다면 저번 시즌보다 더 나은 성적을 충분히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의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글 쓰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글의 잘못이나 개인 의견 있으신 분들께서는 댓글로 부탁 드립니다. 수정하고 다음 글 올릴 때 의견 반영하여 게재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